메타태그

 
 

 

차이나는 클라스 신병주 조선의 탄핵 군주 핏빛 독재자 연산, 장녹수, 천장 촌참 쇄골표풍 허한패 신언패 뜻, 흥청망청 유래, 중종반정, 나이 프로필 신병주 차이나는클라스 85회


차이나는 클라스 85회 조선의 탄핵 군주 핏빛 독재자, 연산 2018년 11월 7일 방송 예고 미리보기 다시보기, 피의 숙청, 갑자사화

출연자 : 홍진경, 오상진, 덕원, 딘딘, 지숙, 이용주, 강지영, 최서윤

게스트 : 정태우

강연자 : 신병주


신병주 교수 프로필

건국대 사학과 교수 

문화재 궁릉 활용 심의위원

학력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전. 서울대 규장각 학예연구사, 외교통상부 외규장각도서 자문 포럼 위원, 남명학 연구원 상임연구위원회 위원

방송 : 역사저널 그날 전문가 패널


조선의 탄핵 군주 핏빛 독재자, 연산

조선 역사 길라잡이, 신병주 교수

명품 연기 '연산군' 배우 정태우

연산군 간단 이력서 '적장자 프리미엄'

아버지가 누구니, 모범생 성종

어머니가 누구니, 폐비 윤씨

사슴 일화, 소년 연산군의 폭군 기질?

연산군이 극혐한 능상이란?

광기의 시작, 무오사화

어머니를 위한 복수의 피바람? 갑자사화

간신의 대명사, 임사홍·임승재 부자

갑자사화의 진짜 목적

'흥청망청'의 어원 연산군의 비선실세, 장녹수

죽음을 각오한 충언, 내시 김처선

폭주하는 광기, 조선 최악의 공포 정치

진실 혹은 거짓

연산군은 동물 애호가?

연산군, 배우 이종석st의 꽃미남?

연산군, 결말을 예감하다?

반정의 역사적 의미

폭군의 시대가 남긴 반성과 성찰


조선의 탄핵 군주 ① 핏빛 독재자 연산

흥청망청 유래 _ 조선 10대 왕 연산군이 기녀를 모아 체계적으로 관리했을 당시 기녀를 가리키는 흥청이란 단어에서 나온 말로 향락에 빠져 국운이 기울었을 당시의 상황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말

1505년 연산군 11년, 연산군은 전국 각지에서 기생으로 데려올 만한 여성이라면 미혼의 처녀까지 가리지 않고 색출, 징발 했고 이 수천명의 흥청을 관리하기 위해 국가 예산을 낭비했던 것


흥청 중에서도 연산군의 총애를 한몸에 받았던 장녹수 

연산군일기 1502년 (연산군 8년) 

- 성품이 영리하여 사람의 뜻을 잘 맞추었는데.. 나이는 30여세 였는데도 얼굴은 16세의 아이와 같았다 

- 왕을 조롱하기를 마치 어린아이 같이 하였고, 왕에게 욕하기를 마치 노예처럼 하였다. 왕이 비록 몹시 노했더라도 장녹수만 보면 반드시 기빠하여 웃었으므로 상을 주고 벌을 주는 일이 모두 그의 입에 달렸다


왕의 총애를 업고 자신의 특별한 지위를 이용해 마음대로 권력을 휘두른 장녹수

조선시대 판 비선실세


연산군 폭정 

신언패 뜻 : 관리들에게 말을 삼가도록 하기 위해 차게 한 패

신언패를 관복 위에 차고 다니게 하자 내관은 궁궐에서 보고 들은 일에 대해 입단속을 하게 되었고 임금에게 직언을 하는 관직인 대간도 제 기능을 할 수 없었다


< 신언패 > 

입은 화근의 문이요

혀는 몸을 베는 칼이라 

입을 다물고 혀를 깊이 감추면 몸이 어느 곳에 있던지 편안하리라


허한패 뜻 : 한가로움을 허락하는 패 

국정 업무를 숭항한 신하들이 휴식을 취할때마저 임금에게 허한패를 받아야 했는데

사모 앞뒤레 충과 성을 새겨 넣어 굴욕감을 주면서 충성을 강요한 것


창의력 갑 연산군 폭정 

천장 : 손바닥 뚫기 

촌참 : 손마디 자르기 

쇄골표풍 : 뼈를 갈아 바람에 날리기 


연산군일기 1506년 (연산군 12년) 

- 조선은 왕의 나라다 조선의 백성 모두가 왕의 신하요 조선 땅의 풀 한포기까지도 모두 내것이다


사치와 향락이 끊이지 않았고 광기 어린 폭정 마저 더욱 심해졌던 연산군

1506년 (연산군 12년), 결국 신하들은 연산군을 폐위 시키고 진성대군 (중종)을 추대하는 '중종반정' 을 일으킨다 

반정의 역사적 경험은 현재에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으며

성군 뿐만 아니라 연산군과 같은 폭군의 이야기에서도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배울 점이 있다는 사실


Posted by 애니
,